[Unreal] Simple & Complex Collision

개요

트럭 actor에 플레이어가 잘 부딪히지 않아서 트럭 스태택 매시에 콜리전을 추가해서 이를 해결하고자 했다.

하지만 매시 에디터에서 콜리전을 추가해도 에디터 상에 트럭을 배치했을 때 추가된 콜리전이 보이지 않았다..

다음과 같이 콜리전을 추가해도

표시 > 콜리전을 활성화해서 에디터 상에 배치해도 콜리전이 보이지 않는다....

단순 콜리전, 복합 콜리전

에디터상의 콜리전을 보면 매쉬의 모양과 정확히 일치하는 콜리전이 보이긴 한다.

하지만 내가 추가한거 컨벡스 콜리전과 박스 콜리전 뿐....

매쉬모양과 똑같이 생긴 콜리전은 어디서 생긴거지?? 궁금해서 이곳 저곳 뒤져보니

매시 에디터의 표시를 보면 단순 콜리전과 복합 콜리전이라고 따로 표시 할 수 있게 되어있었다.

나는 콜리전만 알고 있었는데 단순 콜리전과 복합 콜리전은 뭐지???? 하고 찾아보니

 각 오브젝트는 'simple'(단순) 및 'complex'(복합) 콜리전 표현 둘 다를 가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복합 콜리전이란 실제 렌더링 지오메트리를 콜리전에 사용한다는 것을 가리킵니다. 웨폰 트레이스처럼 보이는 대로 정확히 쏠 수 있었으면 하는 경우에 가장 유용합니다. 그렇다고 항상 충돌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기에, 각 메시는 구체, 박스, 캡슐, 컨벡스 헐 모음으로 구성되는 단순 콜리전 표현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플레이어 이동을 예로 들면, 작은 디테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순 지오메트리에 대한 충돌을 합니다.

 

요약하자면

  • 단순 콜리전: 박스, 캡슐, 컨벡스 헐 등으로 사용자가 생성한 콜리전
  • 복합 콜리전: 매쉬과 똑같은 모양의 콜리전

그리고 우리의 트럭 매시는 복합 콜리전만 활성화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콜리전 복잡도 설정

그럼 단순 콜리전을 활성화하는 방법은 뭘까?

매시 에디터 > Collision > 콜리전 복잡도에서 단순 콜리전과 복합 콜리전을 설정할 수 있었다.

콜리전 복잡도

  • Project Default : 프로젝트 기본 설정으로
  • Simple and Complex : 단순 콜리전, 복합 콜리전 둘 다 활성화
  • Use Simple Collision As Complex : 단순 콜리전만 사용
  • Use Complex Collision As Simple : 복합 콜리전만 사용

Use Simple Collision As Complex를 번역하면 단순 콜리전을 복합 콜리전으로 사용한다 인데 실제 기능과 이름이 조금 다른 것 같아 보니 매시 에디터 상 표시에서 복합 콜리전을 선택하더라도 단순 콜리전만 뜨는 것을 보니 이해됐다.

 

나는 트럭 크기의 박스 콜리전만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Used Simple Collision As Complex를 선택했다.

그리고 박스 콜리전만 추가하고

에디터 상에서 확인하면...!

복합 콜리전도 없이 박스 콜리전만 잘 적용된 것을 볼 수 있다!!!

Reference

https://www.unrealengine.com/ko/blog/collision-filtering

'Unre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Reflection  (2) 2024.12.24
[Unreal] UPROPERTY  (0) 2024.12.24
[TIL] 움직이는 캐릭터 만들기  (0) 2024.12.19
[TIL] 가위바위보 슈팅 게임(?) 개발  (2) 2024.12.18
[TIL] Multi-User Editing(협업 환경 세팅)  (0) 2024.12.17